Postman
개발중인 API를 테스트 할 수 있는 플랫폼인
Postman에 대해서 알아보자
Postman이란?
- API를 개발할 때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과정을 테스트해볼 수 있다.
- 설치하기
- 포스트맨 공식사이트 : https://www.postman.com/
- 로그인 후 Download the desktop app for 윈도우 클릭하여 설치 - 용어
- Workspaces : 팀, 개인 등 다양하게 설정 가능
- Collection : 다양한 요청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단위(폴더의 개념)
- Request : 하나의 API 요청을 보낼 수 있는 단위
- Response : 요청에 대한 결과 - 사용하기
1. 새로운 Request를 만든 후 Get / Post 등의 메소드를 선택한다.
2. 테스트 하고자 하는 http://localhost:포트번호/url매핑값 을 입력한다.
3. API 설정에 따라 적절하게 요청시 전달값을 보낸다(하단 참고)
데이터 주고받기
167번 포스팅에서 HTTP메소드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아봤다.
Postman에서 이 규칙에 맞춰서 요청을 보내고 받는 방법을 알아본다
GET / DELETE 메소드
- URL에 데이터를 담는 메소드이다.
- PathVariable 방법
- 스프링에서 @PathVariable로 로직을 짠다.
- API 규칙에 맞춰 URL에 원하는 데이터를 담아 보낸다. - QueryString 방법
- URL에 '?키값=밸류값&키값=밸류값' 을 직접 입력해도 되지만,
[Params]에서 키값과 밸류값을 넣으면 URL을 자동완성 시켜준다.
POST / PUT 메소드
- Body에 데이터를 담는 메소드이다
>> [Body] 탭에서 바디 데이터 유형(Content Type)을 선택한 후 키밸류 값을 넣어준다. - JSON 으로 보내기
- [Body] - [raw] - JSON 으로 선택해준다.
{ "키값" : "데이터", "키값2" : "데이터2", .. } 의 JSON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한다.
- 자바에서 @RequestBody로 데이터를 받아야 한다(커맨드 객체/변수에 매핑시킨다) - form-data 로 보내기
- [Body] - [form-data] 에서 키/밸류 값을 입력한다.
- form태그의 전달값을 받기 위한 형태이다.
- input type=file 로 전달된 데이터는 스프링에서 MultipartFiles 타입으로 받아야한다.
결과값 확인하기
- Pretty : Json등의 리턴값을 보기 좋게 정리해준다
- Raw : 리턴값 그대로를 보여준다.
- Preview : 태그 등이 포함된 리턴값이 있을 경우 미리보기를 지원한다.
- Visualize :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다.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hortcut key] 개발툴, 편집창 단축키 (0) | 2023.05.11 |
|---|---|
| [토막정보] 다양한 개발용어 (1/2) (0) | 2023.04.13 |
| [Java Script] 유용한 라이브러리 모음 (0) | 2023.01.28 |
| [ERD cloud] 데이터 베이스 설계 프로그램 (0) | 2023.01.10 |
| [TIPS] 잡다한 팁 모음(VSCode, Tistory) (0) | 2022.12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