딥러닝 발전 양상
24-09-24에 진행되었던 에티버스의 AWS 워크샵에 기반한다.
포스팅순서
- 기반지식 : 학습방법론
- 지도학습
- 비지도학습
- 강화학습 - 기반지식 : 관련용어
- 사전학습
- 파인튜닝 - 파운데이션 모델(FM, Foundation Model)
- 생성형 AI (Generative AI)
- 인공지능 in AWS
- 배드락(Bedrock)
- 세이지메이커(SageMaker)
기반지식 : 학습방법론
- 지도학습 (Supervised Learning)
- 입력값(데이터)과 결과값(라벨)을 함께 주고 학습을 시키는 것
- 특징(feature)들을 직접 추출하고 분류작업을 한다.
- 알려주지 않은 문제에 대해 답을 알려주지 못함 - 비지도학습 (Unsupervised Learning)
- 입력값에 대해 결과를 알려주지 않고 학습을 시키는 것
- 기계가 직접 특징들을 추출하고 관리한다.
이 과정은 사람이 열어봐도 이해를 하기 어려움 - 강화학습 (Reinforcement Learning)
- 보상을 최대화 하기 위해 최적의 행동을 학습하는 방법론
- 알파고, 자율주행 자동차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

기반지식 : 관련용어
- 사전학습 (Pre-training)
- 모델이 일반적인 패턴이나 지식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
-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셋에서 기본적인 특징을 배운다 - 파인튜닝 (Fine-Tuning)
- 사전에 학습된 모델에 대해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셋을 학습시키는 것
- 특정 작업에 대한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법
- 지도학습의 일종
파운데이션 모델(FM, Foundation Model)
- 딥러닝이 발전하면서 등장하게 된 모델군
- 탄생배경
- 기존의 모델들은 지도학습을 통해 특정작업은 굉장히 잘하지만 다른작업은 못함
>> 인터넷의 방대한 원시 데이터를 비지도 학습시킴
>> 다방면의 테스크를 보편적으로 잘하는 특성을 가진 파운데이션 모델 탄생 - 특징
- 다방면의 일을 보편적으로 잘 처리한다
- 특정 도메인에 대한 능력을 강화시켜 다운스트림 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다
* 다운스트림(downstream) : FM이 특정 작업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과정
-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며, 학습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의 규모도 크다.(고비용) - 프로바이더
- FM을 개발한 후 API, 오픈소스 등의 형태로 배포하는 주체
- OpenAI, Google, Meta(구 Facebook) 등이 있다.
생성형 AI (Generative AI)
- 주어진 입력 데이터 또는 조건을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
- 주로 딥러닝 기술을 사용해서 구현된다.
-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한다
>> FM별로 특화분야가 있어 자신의 Usecase에 적합한 모델을 찾는것도 중요한 과정이다 - Chat GPT
- 자연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생성형 AI
- Transformer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.
- 보편성을 가졌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모델이기도 하다.
인공지능 in AWS
- 배드락(Bedrock)
- AWS의 AI 서비스 개발 플랫폼
- 다양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API 기반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
>> 생성형 AI 개발 가속화
- 컨슈머 및 튜너에게 적합한 상품
(컨슈머 : 딥러닝 모델을 직접 개발하지 않으면서 이를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하는 주체)
- FM을 재학습 또는 파인튜닝 할 수 있다.
- 인터넷 통신을 하는 경우 관련된 보안대책은 주체가 직접 구축해야함
(프라이빗 서버라면 NAT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됨
- invoke함수로 모델들을 호출하는데, 모델별 인터페이스를 통일하고 싶다면 LangChain 프레임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.(converse함수는 아직 다양한 모델에 적용하지 못함)
- 실습링크 : https://AWS.Bedrock
>> PartyRock을 통해 무료로 실습해볼 수 있다 - 세이지메이커(SageMaker)
- 기계 학습 모델을 구축, 학습, 배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관리형 서비스
- 배드락에 비해 좀더 운영관리에 세세한 기능들을 제공한다
(전문지식이 필요한 대신 많은 부분을 컨트롤할 수 있음)
- 프로바이더들에게 적합한 상품

'Computer Science > 딥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LLM]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RAG (1) | 2024.09.30 |
|---|---|
| [모델 아키텍처] DNN, CNN, Transformer (0) | 2023.08.02 |
| [발전과정] 인공지능-> 머신러닝-> 딥러닝까지 (0) | 2023.08.02 |
| [토막정보] 다양한 딥러닝 용어들 (0) | 2023.01.10 |
댓글